1. 디플레이션 뜻 (deflation)
디플레이션 뜻 은 상품 또는 자산의 가격이 떨어져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 반대되는 말입니다.
일시적인 물가 하락이 아닌 지속적인 디플레이션은 경기를 오랜 기간 침체에 빠지게 만듭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면 사람들은 돈을 잃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주식이나 부동산에서 돈을 빼서 미국 달러나 국채, 금과 같은 안전자산을 매수하기를 선호합니다.
2. 디플레이션 문제점
물가가 내려가면 사람들은 구매를 하지 않거나 미루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물건의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에 빨리 물건을 구매해야 할 동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판매가 줄어들면 가장 먼저 노동자를 해고하거나 임금을 삭감하고 생산과 투자를 줄입니다.
이렇게 가계의 소득이 줄어들고 기업의 수익이 악화되면 소비가 더욱 이루어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어 장기적인 경기 침체가 올 수 있습니다.

3. 디플레이션 원인
(1) 시대의 발전
디플레이션 원인은 몇 가지 정도가 있는데, N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술혁신이나 노동 생산성의 향상으로 전자제품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하나의 예로 들 수 있습니다.
(2) 통화량의 감소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자산에 투자를 하기 위해 대출을 많이 받게 되고, 따라서 돈의 수요가 많아져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
금리가 높아질수록 이자 부담이 심해지므로 사람들은 대출을 더 이상 받지 않고 상환(디레버리지) 하게 됩니다.
대출이 줄어들기 시작하면 시중의 통화량이 축소되어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거래가 줄어들고, 소비도 줄어들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그러면 자산 가격의 거품이 꺼지면서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디플레이션이 닥치게 됩니다.
(3) 부의 불평등
또 다른 원인으로는 소득의 양극화와 부의 불균형으로 인해 국민들은 지갑을 열지 않고, 기업들은 생산한 제품의 가격을 좀처럼 내리지 않아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4. 디플레이션 관련 용어들
(1) 리세션 R, 디프레션 D, 공황
이들 용어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은데 대체적으로 경기둔화를 의미합니다.
리세션(recession)은 경기 침체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경기가 후퇴하기 시작하는 초기를 말하며, 보통 국내총생산이 2분기 연속 감소를 할 때 리세션이라고 부릅니다.
리세션 상황이 계속 심해지면 극심한 경기침체 상황인 디프레션(depression)이 오게 됩니다.
공황(panic)이란 극단적인 경기침체 상황을 말합니다.
공황이 오면 기업들이 연쇄적으로 도산하므로 실업자들이 대거 양산되고, 주식시장이 폭락하며 뱅크런이 일어나 은행이 도산하는 상태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Great Depression)의 예가 있습니다.
대공황 때에는 주법은행들이 파산하고, 미국인의 1/4이 실직을 하는 충격적인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2) 자산 디플레이션 뜻
자산 디플레이션 뜻은 경기 침체기에 주식과 같은 금융자산과 부동산 등의 실물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일본 디플레이션을 생각하면 쉽습니다.
일본 부동산은 1990년대 초부터 잃어버린 20년의 장기 불황으로 부동산 가치와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하여 실물경제의 침체와 복합적인 경기 불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부채 디플레이션 뜻
과도한 부채 때문에 생긴 디플레이션을 일컫는데, 빚을 갚기 위해 자산을 빨리 처분하는 행동이 자산 가격의 하락을 가속화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빚이 과하게 늘어난 상황에서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 거래가 줄어들고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부채 부담은 더욱 증가합니다.
그러면 사람들의 심리는 자산을 매각하고 부채를 상환하려는 움직임으로 바뀝니다.
이런 현상이 확산되면 투자와 소비가 급격하게 얼어붙게 되고 기업과 가계의 파산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개념을 부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