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소기업 경영 정보

  • 소상공인 지원금 3종 택배비 부담경감크레딧 비즈플러스카드 신청

    소상공인 지원금 3대 지원 사업 신청

    소상공인 지원금 3대 지원 사업이 드디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 중에 소상공인 택배비 지원은 30만원 지원금으로, 이미 2월 17일부터 지원이 시작되었습니다.

    소상공인 50만원 지원금으로 알려진 부담경감크래딧과, 1,000만원 한도 소상공인 카드인 비즈플러스카드 신청은 7월 14일(월)부터입니다.

    1.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30만 원의 배달·택배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배달 및 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 소상공인 정책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지원 대상이며, 복수 사업체 보유자는 1개 사업체만 신청 가능합니다.

    소상공인 택배비 지원
    자영업자 지원금

    지급 방식

    • 신속 지급 (2월 17일부터)
      배달비 실적이 전산으로 자동 확인되는 경우 별도 증빙 없이 자동 지급
    • 확인 지급 (4월 21일부터)
      신속 지급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소상공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입력하여 신청

    ▶ 신청 방법

    • 문의처:
      소상공인진흥공단 콜센터 ☎ 1533-0500

    2.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2024년 또는 2025년 연 매출 3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공과금(전기·가스·수도요금) 및 4대 보험료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50만 원 한도의 크레딧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 지원 대상

    • 2024년 또는 2025년에 사업을 영위 중인 소상공인
    • 복수 사업체를 보유하더라도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방식
    신청 시 1개 카드사를 선택하면 선정 이후 해당 카드사에 보유 중인 모든 신용·체크카드가 자동 등록됩니다.
    등록된 카드로 공과금 및 4대 보험료를 결제하면, 별도 서류 없이 자동으로 크레딧이 차감되어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담 경감 크레딧은 2025년 12월 31일(수)까지 사용 가능하니, 기한 내에 꼭 사용하여야 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은 부담경감크레딧.kr 또는 소상공인24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문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콜센터(☎1533-0600)로 하시면 됩니다.

    ✅ 신청 기간

    • ~2024년 개업자 : 7월 14일(월) 9시 ~ 11월 28일(금)
    • 2025년 개업자 : 국세청 상반기 매출 신고 일정(7월 1일~25일)을 고려해 8월 1일(금) ~ 11월 28일(금) 신청 가능

    첫주에는 일자별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5부제 신청을 실시하며, 7월 19일부터는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담경감제도

    3. 소상공인 지원금 – 비즈플러스 카드

    중·저신용 소상공인(NICE 신용점수 595~839점)을 대상으로 최대 1,000만 원의 이용 한도가 부여된 신용카드 발급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단, 연체나 체납이 있으면 안됩니다.

    이 카드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서를 담보로 신규 발급되며 재료비, 사무기기 구입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습니다.

    👉 비즈플러스카드 혜택

    • 이용 한도: 최대 1,000만 원
    • 무이자 할부: 최대 6개월 가능
    • 캐시백: 카드 사용금액의 3%, 최대 10만 원(1년간)
    • 비용 부담 없음: 연회비 + 보증료 전액 면제

    👉 신청 절차

    2024년 7월 14일(월) ~ 12월 31일(수)까지 신청 가능하며 카드 발급을 위해 아래의 2단계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보증신청
      • 보증드림 앱(서울, 경기 제외한 지역신용보증재단)에서 신청
      • 단, 서울 지역은 서울신용보증재단 모바일 앱 / 경기 지역은 Easy One 앱 이용
    소상공인 카드
    1. 카드발급 신청
      • 보증 승인 후, IBK카드 앱 또는 i-One Bank(기업) 앱에서 신청
      • 카드 수령까지 최대 10영업일 소요
    비즈플러스카드 발급

    👉 상세 정보 확인 및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 www.mss.go.kr
    • 지역신용보증재단 통합 콜센터: ☎ 1588-7365
    • IBK기업은행 영업점

  • 국민건강보험 11월 신규부과자료 건강보험료 변동

    국민건강보험 11월 신규부과자료 건강보험료 변동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료 변동이란?

    국민건강보험 보험료 변동 안내문을 받으셨나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산정을 위해 11월분부터 새로운 부과자료를 반영합니다.
    이에 따라 작년 소득과 올해 재산의 변동에 따라 보험료가 다음 세 가지로 변동됩니다:

    1. 건강보험료 증가
    2. 건강보험료 감소
    3. 건강보험료 변동 없음

    신규 부과자료에 따른 보험료 변동은 소득 및 재산 변동에 따라 개별 세대의 보험료를 조정하여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2023년 귀속 소득금액이나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에 변동이 있는 세대만 해당됩니다.

    건강보험료
    •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적용 기간: 매년 11월부터 다음 해 10월까지 1년간
    • 추가 부과 및 환급: 2023년도 건보료를 조정받은 경우에는 2024년 11월 국세청의 2023년 귀속 소득자료를 반영하여 추가 부과 또는 환급 절차가 진행됩니다.
    • 건보료 납부 마감일: 11월분 보험료는 12월 10일까지
    • 소득월액 28만원 이하인 세대는 소득월액 최저 보험료가 적용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절감 방안

    1. 피부양자 자격 취득

    •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되는 것이 보험료 절감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요건:
      • 종합소득금액 2,000만 원 이하
      •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5억 4,000만 원 이하
      • 재산세 과세표준이 5억 4,000만 원 초과 ~ 9억 원 이하일 경우, 종합소득금액 1,000만 원 이하

    2. 임의계속가입 제도 활용

      •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 시, 최대 36개월간 직장가입자 수준의 보험료를 유지할 수 있음

      3. 소득 및 재산 변동 시 조정 신청

      건강보험료-인상
      • 소득 감소(휴업, 폐업) 및 재산 감소(매각 등) 시 관련 서류 제출로 보험료 조정 신청 가능

      4. 차량 관리

      • 보험료 산정 제외 차량:
        • 사용 연수 9년 이상 생계형 차량
        • 차량가액 4,000만 원 미만
        • 배기량 1,600cc 미만
      • 고급차 처분 후 소형차 구매 또는 리스 전환 고려

      국민건강보험료 추가 할인 받으려면

      1. 신용카드 납부 할인 이벤트 활용

      • 각 카드사의 4대 사회보험 납부 할인 혜택을 통해 캐시백 또는 수수료 할인 가능

      2. 주요 카드사 혜택

      https://www.shinhancard.com/pconts/html/benefit/event/1225527_2239.html

      • 신한카드 자동납부 신청 이벤트
        • 4대 보험 납부 금액 3천 원 캐시백 (1회 한정)
        • 납부 수수료 최초 3개월 전액 할인

      https://www.samsungcard.com/home/card/cardinfo/PGHPPCCCardCardinfoDetails001?code=AAP1758

      • 삼성 BIZ iD BENEFIT 카드
        • 사업 필수 경비(4대 사회보험 포함하여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 1.5% 결제일 할인
        • 연회비 3만원

      https://pc.wooricard.com

      [ 우리카드 홈페이지에서 “우리 K-패스“로 검색 ]

      지역가입자-건강보험료
      • 우리 K-패스(신용)카드
        • 대중교통 10% 청구 할인4대 보험 포함 보험 영역 10% 청구 할인
        • 월 할인 한도 최대 4만 원

      https://card.kbcard.com/BON/DVIEW/HBBMCXCRVNEC0001?mainCC=a&eventNum=283279&mViewTyp=D

      • KB국민카드
        • 납부대행수수료 월 최대 4천 원 할인
        • 최초 3개월 실적 조건 없음
        • 4개월부터는 전월 이용금액 30만원 이상 이용하면 할인

      카드사별 조건과 세부 내용은 카드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찾아줘 세무사 상담 후기, 세무상담 비용

      찾아줘 세무사 상담받아본 후기

      1인 기업을 운영하면서 그동안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는 기존 지식과 국세청 자료를 찾아보면서 혼자 신고납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매출이 늘어나고 사업 영역이 다양해지면서 이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유명한 ‘찾아줘 세무사’ 사이트에서 상담을 받아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찾아줘 세무사에서 상담 신청하는 방법과 직접 이용해 본 찾아줘 세무사 후기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찾아줘 세무사 상담받는 방법

      찾아줘세무사는 홈페이지와 앱 모두 이용 가능합니다.

      저는 3초 간편 로그인을 통해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여 접속했습니다.
      3초 간편 로그인을 하면 4,000원 상담료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찾아줘-세무사

      찾아줘 세무사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세무사수수료비교요청, 세무사직접찾기, 세무상담 3가지가 세무사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옵션입니다.

      1. 세무사수수료비교요청 : 매월 기장이나 1회성 세금 신고대행, 세금 신고 유료 상담 비용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는 메뉴입니다.

      입력할 내용은 순서대로 사업자 유형, 과세 유형, 사업장 지역, 업종, 작년 매출 금액 구간, 총 직원, 4대 보험 가입 직원 인원수, 특이사항 및 문의사항입니다.
      접수하면 세무사로부터 세무업무 수수료 무료 견적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 세무사들이 입찰을 할 것이므로 후기나 만족도, 비용 등을 직접 비교해 보고 세무사선택하기를 하면 해당 세무사 쪽에서 연락이 올 것입니다.

      2. 세무사직접찾기 : 저는 간편하게 전화상담을 받기 위해 세무사직접찾기를 이용했습니다.

      기장, 신고대행, 컨설팅 등의 주제를 선택하고 지역 및 상담료 구간, 상담방법 등을 필터링하여 직접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는 하단에 있는 개별 세무사 정보(만족도, 후기, 세무상담 비용)를 보고 수수료 견적을 받거나 상담예약을 할 수 있습니다.

      3. 세무상담 : 채팅, 전화/방문, 무료 글 상담을 신청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채팅 상담은 10분, 20분 등으로 시간과 금액이 정해져 있는데 채팅상품 결제하기를 통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방문은 위의 2. 와 같이 시간별 전화상담, 또는 방문상담을 예약하여 세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료 글 상담은 공개적인 상담사례로 노출되므로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적으면 1000자 분량의 질문을 할 수 있으며, 무료로 세무사들이 답변을 달아줍니다.

      세무사 상담료 및 상담 후기

      찾아줘-세무사-후기

      저는 세무사직접찾기 메뉴를 통해 세무사의 전문 분야와 고객 후기를 보고 10분 전화상담을 받았습니다.

      10분 세무상담 비용은 22,000원(4,000원 상담료 쿠폰으로 할인받아서 18,000원)이었으며, 예약한 시간에 맞춰서 세무법인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그런데, 기대했던 것과 다르게 세무사가 직접 연락이 온 것이 아니라 사무장이 연락을 주고 상담을 해서 조금 당황했습니다.
      세무사님 직접 상담이 필요하다면 나중에 연락을 주겠다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세무사 사무실에 문의를 하면 직원이나 사무장이 실무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냥 사무장에게 상담을 받기로 했습니다.

      상담신청 내용에 미리 현 상황에 대한 내용과 금액, 궁금한 점을 자세히 적어서 상담을 요청했는데 10분이라는 시간이 생각보다 짧아서 도움이 필요했던 점은 해소되었으나, 또 다른 걱정과 문제점들이 생겨 상담 이후에 다시 후속적인 상담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해당 사무장님은 정성을 들여서 10분을 훨씬 넘겨 상담을 해주셨으나, 적지 않은 세무사 상담료인데도 직접 세무사의 상담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미리 질문을 정리해두어도 전화상담 한 번으로도 시원하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미리 염두에 두고 신청해야 할 것 같습니다.

      장점으로는 비대면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세무사를 찾아서 신고를 의뢰하거나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인터넷으로도 세무 정보가 많지만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게 조언을 들으니 전혀 몰랐던 지식들을 알 수 있었다는 부분이 정말 좋았던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 지인에게 다른 세무사 사무실을 추천받기는 했지만, 추후 필요하다면 찾아줘 세무사를 또 이용할 의향도 있습니다.

      📌 경영 관련 함께 읽을만한 글
      사람인 기업정보 변경 또는 삭제하기 (+나이스기업정보)
      – 전자도서관 무료로 이용하기 – 소상공인 지식배움터
      – 사업용신용카드 등록 홈택스에서 2분 만에 하기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2. 여성기업확인서 신청하기

      여성기업확인서 신청 및 갱신 방법

      여성기업확인서는 첫 발급으로부터 3년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성기업 확인서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별도의 갱신 절차가 존재하지 않아 신규 신청을 다시 해야 하는데(발급번호가 달라짐), 만료일 이전 1개월 전부터 smpp(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종합정보망)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성기업확인서 신청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신생기업이 아니라면 발급방법이 상당히 까다롭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SMPP 공공구매종합정보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기존에 회원가입을 했다면 로그인을 하고, 처음 신청이라면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여성기업확인서

      홈페이지 첫 화면 오른쪽 하단에서 여성기업확인서 신청을 클릭합니다.

      여성기업확인서를 신청하면 현장실사가 진행된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신청서를 작성하면 서류 검토 후 접수, 현장실사 과정을 거쳐 여성기업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


      홈페이지 안내사항에는 여성기업확인서 신청이 완료된 날로부터 발급까지 7일이 소요된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처음 신청할 때 예상보다 빠르게 절차가 진행되어 신청 후 3일 만에 평가위원 면담을 받았으며, 면담 다음날 발급 승인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재신청 때는 신청 상태에서만 1주일 넘게 소요되었습니다.

      여성기업확인 신청 화면에서 하단의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에서 동의 버튼을 누릅니다.

      여성기업확인 자가진단표가 나옵니다.
      여성대표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회사 또는 개인사업자가 맞는지 등을 확인하는 항목들로, 해당사항에 체크를 한 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여성기업확인서-신청

      🔼 신청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입니다.
      기존에 발급 이력이 있었다면 기본정보가 이미 입력되어 있을 것입니다.

      여성기업확인서 신청이 처음이라면 정보를 차례로 입력하면 됩니다.

      •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사업장 소재지에 맞는 지회를 선택합니다.
      • 입력정보 중 한국표준산업분류주업종이름에서 나의 사업자등록증상 종목, 업태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 주생산품목은 리스트에서 선택을 해도 되고, 분류명을 입력해서 검색결과 중 선택해도 됩니다. 또는 직접입력을 해도 됩니다.(이 경우 코드는 9999999999로 입력됨)
      • 대부분의 경우 여성대표취임일자는 사업개시일일 것입니다.
      • 1인 기업이라면 상시근로자수는 0명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작성이 끝났다면 하단의 신청서 작성 버튼을 누릅니다.


      여성기업 확인서 제출서류 첨부하기 (개인사업자 기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아직 신청이 완료된 것은 아닙니다.
      제출서류는 아래와 같은데, 본인 회사에 해당하는 대로 준비해서 업로드하면 됩니다.
      만약 보완이 필요하면 여성경제인협회에서 별도로 문자 연락을 줄 것이며, 진행단계가 서류보완으로 바뀌면서 제출서류를 업로드할 수 있는 상태로 바뀝니다.

      여성기업확인서-갱신

      목록에서 보면 진행 단계가 임시저장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여성기업확인서-제출서류
      1. 여성기업 확인 신청서를 출력해서 신청인 서명란과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에 서명을 한 뒤 스캔합니다.
      2. 신청 건의 신청일자를 클릭하여 제출서류를 업로드해야 합니다.
        저는 직원이 없는 개인사업자라서 ⏬ 다음과 같은 서류들을 제출했습니다.
        서류 양식과 준비 방법은 여성기업확인 신청/발급 화면의 상단에 붉은색 글자로 된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여성기업확인신청서
      • 사업자등록증
      • 사업자등록증명(주민등록번호 전부공개) : 홈택스에서 발급 가능
      • 신청기업 현황서 : 일반현황, 일반특성 (재무현황, 대표자 경력, 기업소개, 주요 매입매출처 등)을 빠짐없이 작성해야 함
      • 여성기업 현장조사 면담확인서 : 여성기업확인서 신청 안내 목록에서 여성기업 면담확인서 다운 가능, 서명 후 스캔본 첨부
      • 4대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명부 제출불가기업 대체서류 :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 > 사업장 관리번호 찾기 > 미성립 화면 캡처

      신청일자를 클릭하여 제출서류 부분에서 파일 올리기를 클릭하여 업로드 후 하단의 신청 버튼을 누릅니다.

      목록으로 다시 돌아오면 진행단계가 신청 상태로 바뀌어 있고, 1533-0092(SMPP) 번호로 ‘여성기업확인서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문자가 올 것입니다.

      이후 현장조사 안내가 문자로 올 것이며, 면담을 잘 마치면 여성기업확인 발급승인 문자가 옵니다.
      면담을 어느 정도로 자세하게 진행할지는 개별 위원과 신청 회사의 상황에 따라 다르며, 면담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여성기업확인 발급승인 문자를 받으면 SMPP 홈페이지에서 여성기업확인서 발급(확인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출력) 후 바로 사용하면 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3. 사람인 기업정보 변경 또는 삭제하기 (+나이스기업정보)

      사람인 기업정보 변경 또는 삭제하는 방법

      사람인 기업정보를 등록해서 사용하고 계시나요?

      만약 사람인 기업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았더라도, 신용평가 등의 이유로 나이스기업정보에 가입 및 등록이 되어 있다면 포털 사이트 검색에서 사람인 기업정보가 자동으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얼마 전에 인터넷에서 제 정보를 검색했다가 등록한 적이 없는 사람인 기업정보가 나오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사람인 기업정보 삭제를 온라인으로 요청했습니다.

      이 포스팅 내용은 사람인 기업정보 수정 또는 삭제, 나이스기업정보 수정 방법입니다.


      사람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기업회원 로그인을 합니다.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필수 정보만 넣고 새로 회원 가입을 합니다.

      사람인-기업정보

      로그인 후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나의 상호를 클릭하면 아래쪽에 기업정보 관리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기업정보 관리 화면에서 두 번째 탭의 대표 기업정보를 클릭합니다.

      스크롤을 아래쪽으로 내려 보면 수정/삭제 요청이 있습니다.

      사람인-기업정보-삭제

      요청자 정보부터 시작하여 필수 입력 정보를 기입한 뒤, 기업 증빙 자료로 3개월 이내에 발급된 사업자등록증명원 파일을 첨부합니다.
      사업자등록증명원 파일은 용량 1MB 이하, JPG 확장자가 권장되므로 PDF 파일은 업로드가 안됩니다.

      수정 요청 또는 삭제 요청 항목을 입력 및 선택합니다.
      아예 사람인 기업정보 삭제를 원한다면 기업정보 전체 삭제를 클릭하면 되고, 일부 정보나 정보 제공처별 삭제를 원한다면 해당 항목에 직접 원하는 항목을 입력하면 됩니다.

      기업정보 전체 삭제와 NICE평가정보(NICE 기업정보)를 모두 삭제 요청하면 사람인 사이트에서 기업 정보가 비노출되며, 네이버나 구글과 같은 포털 검색에도 기업 정보가 노출되지 않게 됩니다.

      사람인 홈페이지의 안내 문구에는 요청 후 사람인 고객센터 영업일 기준 1~3일 이후 반영이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제 경우 몇 시간 이내로 비노출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면 ‘사람인 기업정보 없음’으로 변경되었다가 잠시 후 아예 기업 정보가 검색을 해도 나오지 않게 되었습니다.

      나이스기업정보 수정 방법

      만약 나이스평가정보의 기업정보를 수정하고 싶다면 위의 화면 하단에 있는 NICE평가정보 고객센터를 버튼을 클릭하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NICE평가정보 고객센터를 클릭하면 NICE BIZ info 정보오류 수정요청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나이스기업정보-수정
      NICE 기업정보 수정 요청

      수정항목을 선택하고 수정방식에 나와 있는 서류를 업로드하여 신청하거나, 기타 변경사항에 대하여 기재된 고객센터로 메일을 보내면 빠르면 몇 시간 이내로 수정사항이 나이스기업정보에 반영됩니다.

    4. 정부24에서 통신판매업 주소 변경 및 출력까지

      정부24에서 통신판매업 주소 변경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부24에서 통신판매업 주소 변경 신청과 통신판매업 신고증 재발급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 통신판매업 변경신고 대상
      통신판매업 상호 변경, 사업장 주소 변경, 전화번호 변경, 전자우편 주소 변경, 통신판매업 도메인 변경, 호스트 서버의 소재지 변경

      인터넷 통신판매업 주소 변경은 방문할 필요가 없고 수수료도 없습니다.
      또한 통신판매업 변경신고서는 매우 금방 작성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처리 기관에서 빠르게 처리를 해주므로 변경사항이 발생하였다면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변경신고를 합시다.

      저는 통신판매업 신고 주소변경을 신청한 지 하루 만에 민원이 처리되었습니다.


      정부24에서 통신판매업 주소 변경을 하기 위해 정부24 (기존의 민원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정부24-통신판매업-주소-변경
      민원24 통신판매업 신고

      메인화면 중앙의 검색창에 ‘통신판매업’을 입력하면 자동완성으로 서비스 바로가기가 나옵니다.
      통신판매업변경신고-시.군.구 를 클릭합니다.

      통신판매업 변경신고 안내 화면이 나오면 발급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회원/비회원 모두 신청 가능한데, 저는 비회원 신청하기로 진행하였습니다.

      비회원으로 신청할 경우, 개인정보 수집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 이용동의에 모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필수 입력사항인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란의 숫자를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통신판매업 변경신고 정보 작성화면이 나옵니다.

      업체 정보, 대표자 정보, 변경사항, 증명서류 제출, 수령방법선택란을 차례로 입력하면 됩니다.

      순서대로 필수 입력사항(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연락처, 소재지 등)을 직접 입력합니다.
      사업자 주소 변경 통신판매업 신고업체 정보 ▶ 소재지를 변경된 주소로 입력하면 됩니다.

      <변경사항을 작성해 주세요.>란에서는 변경전의 내용과 변경후의 내용을 직접 타이핑합니다.

      그리고 변경사항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1부와 기존 통신판매업신고증 1부를 파일로 첨부합니다.

      통신판매업-변경신고

      ✅ 중요한 부분은 수령방법선택입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면 관할 행정기관(구청)을 방문해서 직접 종이 신고증을 수령해야 했는데, 이제는 온라인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하단의 민원신청하기를 누릅니다.


      통신판매업 신고증 온라인 발급

      통신판매업-주소 변경

      정부24 민원이 처리되었다는 이메일을 받으면 민원처리결과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서 온라인 신청민원 처리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직접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했다면 MyGOV > 나의 신청내역 > 서비스 신청내역 > 온라인 신청민원 메뉴로 들어가면 됩니다.

      신청일로부터 3일 이전이라면 검색기간을 직접 선택하여 검색해야 민원접수 건이 나옵니다.

      문서출력 버튼을 누르면 인증화면이 나오니, 인증방법을 선택하여 본인 인증을 합니다.

      이제 문서출력 화면이 나오면서 변경된 통신판매업신고증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변경사항이 있으므로 총 2장 분량의 신고증이 나올 것입니다.

      직접 방문수령해서 받을 수 있는 빳빳한 종이에 관할 지역구의 로고와 직인이 찍힌 신고증과는 다른 허전한 신고증이지만, 바쁜 사업자들이 구청에 방문해야 하는 수고가 한 단계 줄어들었으니 정말 세상이 편해졌습니다.

      함께 볼만한 글 :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방법, 정부24 여권 재발급

    5. 사업용신용카드 등록 홈택스에서 2분 만에 하기

      1. 홈택스 사업용신용카드 등록 방법

      사업용신용카드 등록 을 해두셨나요?

      개인사업자가 사업 목적으로 이용한 카드 내역은 매입세액 공제를 받거나 경비로 계상할 때 꼭 필요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할 때 신용카드 사용액을 한 번에 불러와서 사용하면 정말 빠르고 쉽게 신고를 끝낼 수 있습니다.

      사업용 신용카드 등록은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대표자 명의라면 신용카드, 체크카드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가족카드는 등록할 수 없습니다.

      홈택스 사업용신용카드 등록을 위해 우선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복수사업자를 가진 분들은 카드를 등록하고 싶은 사업자로 로그인하면 됩니다.

      사업용신용카드-등록

      접속 후 홈택스 상단 메뉴 중 조회/발급을 클릭합니다.

      홈택스-사업용신용카드-등록

      화면을 아래쪽으로 내리면 신용카드 > 사업용신용카드 > 사업용신용카드 등록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사업용 신용카드 등록은 최대 50장까지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사업용-신용카드-등록
      개인사업자 체크카드 등록

      개인신용정보의 제공 동의서에 동의함을 체크합니다.
      카드번호 입력란에서 카드사를 선택한 뒤 사업용신용카드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등록접수합니다.
      아래쪽 휴대전화번호도 입력합니다.

      ‘등록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카드 등록이 끝난 것입니다.


      2. 사업용카드 등록 후 다음 달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당월 등록한 카드는 다음 달 15일 경에 본인일치여부를 조회할 수 있으며, 등록월 전체의 사용내역을 다음 달부터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용 신용카드 등록 기간이 2023년 8월 중이었다면, 2023년 9월 15일 경부터 8월 1일 자부터 사용한 내역을 시작으로 8월 전체 동안의 카드 사용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여러 개의 카드를 등록해 보았는데, 대체로 카드확인일이 15일보다 빠른 익월 초중순 무렵이었습니다.

      사업용신용카드 등록내역에서 등록요청일 오른쪽에 카드확인일 날짜가 확인되고, 처리상태가 등록완료로 나오면 사업용신용카드 등록이 정상적으로 된 것입니다.

      등록한 카드는 추후에 다시 취소도 가능합니다.
      만약 사용하던 카드를 재발급했다면 사업용신용카드 등록도 새로 다시 해야 합니다.

    6. 비상주 오피스 계약 전 고려 사항

      비상주 오피스 계약 전 주의사항은 🔻 아래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비상주 사무실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개인사업자 비상주사무실을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임대인과 사무실을 신뢰할 수 있는가?
      2. 실사 지원 여부, 미팅룸(회의실) 지원 여부
      3. 우편물 수령을 잘 해주는가?
      4. 주소상 호수가 구분되어 표기되는가?

      1. 임대인 및 사무실의 신뢰도

      • 공유오피스 계약 시 신원이 확실한 임대인이 맞는지를 확인합니다.

      공유오피스는 전대의 형태가 많으므로(물론 자가인 경우도 있습니다.) 임대인이 믿을만한 사람인지, 오랫동안 해당 건물에서 임대업을 해왔는지 와, 사업자등록정보의 대표자 성명과 계좌 예금주의 동일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주사무실 임대차계약서 작성 전에 이러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찾아봐도 어느 정도는 검증이 가능합니다.

      • 최초 계약 때에는 사무실을 직접 둘러보고 대면 계약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비상주사무실의 구조 및 시설, 임대인이나 담당 직원이 어떤 사람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 개인사무실 계약 준비물로는 사업자등록증, 신분증, 통장 사본이 필요합니다.
      • 처음에는 최소 계약단위로 결제한 뒤, 신뢰가 쌓이면 계약을 갱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비상주 오피스 실사 지원 여부, 미팅룸 지원 여부

      • 비상주오피스 실사 지원

      비상주사무실을 이용하는 기간 동안 관공서 또는 특정 단체의 승인, 확인을 받거나 금융기관 대출을 받기 위해 실사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공유오피스실사 지원 서비스가 있어서 공간을 제공해 주는지가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에 따라 비상주사무실 실사 지원은 추가 서비스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무실들은 계약을 하면 일정 시간과 횟수를 지정하여 추가 비용 없이 실사를 지원해 줍니다.

      따라서 비상주사무실을 이용하기 전에 실사 지원 여부 및 추가 비용을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미팅룸 사용시간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회의나 미팅이 종종 잡힙니다.

      이때 사업장 주소지와 같은 장소에서 미팅룸을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임대차계약 시에 제공 시간(ex. 평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월 5시간)과 횟수(ex. 월 2회)를 알려줄 것이므로, 필요하다면 사전에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우편물 수령, 전달 서비스

      사업장 주소지의 변경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므로, 같은 비상주 사무실을 오래 사용하려면 우편물 수신 및 발신 서비스가 편리해야 합니다.

      비상주-오피스
      공유오피스 우편물주소

      이제는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 이메일이나 휴대폰으로 고지 및 알림을 보내주지만, 사업주가 모든 공공기관의 일정을 알 수는 없습니다.
      사업을 하다 보면 뜻밖의 우편물을 받게 되는 일이 종종 있는데, 비상주 사무실의 편의성을 크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 비상주 공유 오피스 우편물 서비스입니다.

      비상주 사무실을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우편물 서비스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택배나 퀵서비스, 우편물을 직접 수령해 주는지
      • 우편물 도착 알림을 빨리 보내주는지
      • 우편물 스캔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지 (직접 찾으러 가지 않고 스캔본 또는 팩스로 받을 수 있습니다. 비용 발생 여부는 사무실마다 다릅니다.)
      • 우편물을 직접 찾으러 갈 때 시간제한이 있는지

      어떤 오피스의 경우 공유오피스를 메인으로 해서 비상주 우편물 서비스는 아예 지원해 주지 않거나, 수령 후 며칠 내로 찾아가지 않으면 바로 폐기하는 방침을 가진 곳도 있습니다.
      또는 사람이 우편을 수령해 주지 않고 사무실 외부에 방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비상주 사무실 이용의 편리성이 떨어집니다.

      비상주 사무실을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가 우편물 수신 및 발신 서비스이므로, 처음부터 편리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곳과 계약을 맺도록 합니다.

      4. 주소에 호수가 구분되어 표기되는지

      비상주 공유오피스 사무실 호수 표시의 중요도는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다르기는 합니다.

      • 호수 없이 공유오피스 주소로만 임대차 계약이 체결될 경우, 동일한 공유 오피스에서 다른 사람이 관공서에 신고를 했다면, 이후에 동일한 신고를 하는 다른 사람은 처리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의 성격상 관공서 신고, 허가 등이 필요하다면 호수 표시가 되는(ex.ㅇㅇㅇ호) 비상주사무실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반면, 사업의 성격이 관공서 신고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호수 표시가 없는 비상주사무실을 선택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비상주 사무실을 선택한다면,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신뢰할 수 있는 비상주사무실을 찾고 계신다면 제가 5년 동안 꾸준히 이용해 온 ES비지니스센터 서초교대점을 추천드립니다.

      https://g.co/kgs/angeBnf

      사업자 주소지로 많이들 선호하는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해 있으며, 합리적인 비용에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곳이라서 계속 갱신 계약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ES비지니스센터 서초교대점의 김효리 매니저님의 섬세하고 확실한 지원이 이곳의 장점입니다.
      김효리 매니저님은 10년 가까이 근무하신 베테랑이셔서, 문의를 드리면 항상 빠르고 정확하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주시는 점이 가장 만족스럽습니다.
      개인사업자는 변화를 빠르게 받아들여야 해서 신경 쓸 일이 많은데, 매 상황마다 매니저님이 적극적으로 든든한 사무지원을 해주셔서 저는 장기적인 성장에 집중하여 일할 수 있었습니다.

      계약할 때 76호의 소개라고 매니저님에게 말씀드리면 더 잘해주실 겁니다.

      이 글의 내용이 비상주오피스를 선택하시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7. 비상주사무실 비용

      비상주사무실 비용 궁금하신가요?
      이 글은 📌비상주사무실 사용하는 이유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비상주사무실 비용은?

      1. 기간별 비상주사무실 비용

      비상주 사무실 비용은 지역이나 계약기간, 이벤트 해당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보통 최소 단위가 6개월에서 1년까지이며, 일부 소규모 사무실은 3개월부터도 계약이 가능합니다.

      제가 조사하거나 사용해 본 서울 개인사업자 비상주 사무실 비용은 월 4만~7만 원 정도(부가세 제외)였습니다.

      계약 기간이 짧을수록 월 비용이 비싸며, 1년 이상, 또는 그보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월 비용이 낮아집니다.
      장기 사용 시 추가적으로 할인을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비상주 사무실은 일반 사무실 비용에 비해 가격이 매우 합리적이며, 최근에는 월 비용 3만 원 이하 수준의 저렴한 곳도 많아졌습니다.

      비상주사무실-가격
      비상주사무실 사업자등록 비용

      2. 비상주사무실 옵션에 따른 추가 비용

      보증금

      비상주사무실을 운영하는 공유오피스는 계약 갱신 또는 주소 이전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할 경우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보증금을 먼저 받습니다.

      보증금 금액이 큰 곳은 월 이용료만큼 높은 금액을 요구하므로, 사용기간에 비례하여 보증금이 적절한지 먼저 계산해 봐야 합니다.

      보증금은 일반적으로 10만 원에서 20만 원 선으로 예상하시면 됩니다.
      보증금이 저렴한 곳은 1~2개월 이용료 정도로 받는 오피스도 있고, 또는 보증금이 아예 없는 곳도 있습니다.

      계약이 종료되거나 다른 주소지로 사업장을 이전할 경우 보증금은 다시 반환됩니다.

      ✅ 우편 서비스, 호수 구분 표기, 관공서 실사 지원 옵션에 따라 각각 매월 1만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를 이용하면 시간당 10,000원의 비용을 추가로 지불할 수 있습니다.

      ✅ 회의실 또는 미팅룸은 월 1~10시간 정도 무료로 제공되며, 추가시간 사용 시 비용이 발생합니다.

    8. 비상주사무실 사용하는 이유

      비상주사무실을 이용하는 이유는?

      비상주사무실 을 서울에서 몇 년간 임대하여 온라인 사업을 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공유 오피스에서는 상주 사무실 또는 비상주사무실을 임대해 줍니다.

      비상주 사무실을 빌리는 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신생 기업, 소기업, 개인 사업자 및 외부 영업직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

      1. 비상주사무실을 사업자등록 주소지로 사용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 상품 중개업, 개인 연구직, 프리랜서 업무 등을 하려면 사업자 등록 주소지가 필요합니다.
      아예 사무실을 임차하는 것은 신경 쓸 일이 너무 많으며, 비용도 많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사업이 성장할 수도 있고 성장하지 못할 수도 있는 초기의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비상주 사무실 주소를 빌리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직원을 고용하거나 직접 손님들이 방문하는 업종이 아니라면 말이지요.

      또한, 사업자등록증 주소는 관공서의 인허가, 신고, 검증을 위해 필요하고, 금융기관 대출심사 시에도 실사를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집이나, 사무실로 간주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신청 사항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업장 주소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사업체의 위치에 따라 대상 고객층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고, 정부 지원사업의 신청 요건 해당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개인사업자-비상주사무실
      개인사업자 비상주사무실

      2. 보안, 안전상의 이유로 비상주사무실이 필요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사업장의 위치나 연락처를 검색할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에, 사업자를 자택 주소로 내면 예상치 못한 손님들이 갑자기 찾아오거나, 스팸이나 홍보성 우편물이 쇄도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혼자 사업을 운영하거나, 휴무일에 쉬고 있는 경우라면 난처해질 수 있고,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할 경우 사업 유지에 많은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안타깝게도 좋은 사람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므로 집 주소는 공개적으로 알리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 비상주사무실로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음

      위의 1.과 관련된 이야기지만, 소자본창업가나 소규모 개인 사업자가 몇 년 연속으로 큰 성과를 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해야 할 일이 굉장히 많지요.

      몇 년의 기간 동안 숨만 쉬어도 많이 지출되는 비용은 월세인데, 비상주사무실 월세는 대부분의 소상공인도 무리 없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매월 지출이 줄어들면 어려운 시기에도 심신에 큰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익이 날 경우 그만큼 여윳돈을 남길 수 있고, 갑자기 쉬는 기간이 생기더라도 고정지출로 인해 돈이 크게 나가지 않으니 부담감이 많이 줄어듭니다.

      4. 비상주사무실을 이용하는 그 외의 이유들

      비상주사무실은 기본 주소지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비즈니스 운영 교육, 컨설팅, 부가시설(촬영 전문 스튜디오 등) 제공 및 세무 또는 법률 서비스 연계(제휴 할인)를 해주기도 합니다.

      또한, 공유 오피스가 체인인 경우 다른 지점 사용이 가능한 곳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