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으로 받은 1차 소비쿠폰은 다 사용하셨나요?
이번에 예정된 민생 회복 보조금으로 온누리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이 있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소상공인 지원금 3종 참고 : 택배비, 부담경감크레딧, 비즈플러스카드 신청
9월 지원금으로 예정된 상생페이백을 꼭 신청하고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상생페이백은 2025년 정부 민생회복 지원 사업으로, 카드 사용금액에 따라 환급 및 복권 당첨 혜택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상생페이백 사업의 취지는 소비를 촉진하고 취약 상권의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함이며, 추경예산으로 재원이 마련되었다고 합니다.
📌 상생페이백 지원금 간단 정리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올해 9~11월 카드 소비액이 증가했다면, 증가분의 20%까지 월 최대 10만원씩(3개월간 최대 30만원)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줌

1. 상생페이백 받는 방법
- 신청 기간 : 2025년 9월 15일 오전 9시 ~ 11월 30일 자정까지
- 신청 자격 : 만19세 이상(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2024년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나 국내 거주자 - 신청방법 :
-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해 본인 인증으로 온라인 신청
- 신청 첫 주(9월 15~19일)는 접속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 5부제 적용, 9월 20일부터는 요일 구분 없이 모두 신청 가능
-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계층에게 9월 15일부터 ~ 11월 28일까지 평일 영업시간 중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기청 등에서 온라인 신청을 도와줍니다.

2. 소비액 산정 기준 및 환급 구조
- 소비액 산정 기준 :
상생페이백의 기준이 되는 카드 사용액은 국내 신용·체크카드 결제 금액만 인정됩니다.
신청만 하면 별도의 소비실적 제출은 필요 없이 페이백이 산정 및 지급됩니다.
계좌이체, 현금, 간편결제(삼성페이·애플페이 제외)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실적의 비교기준인 지난해 월 카드 소비실적은 신청 2일 후부터 상생페이백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5년 소비실적은 9월 17일부터 확인 가능합니다.
산정 기준에 들어가는 사용처는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되도록 제한됩니다.
백화점, 아울렛, 대형마트,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제외되었지만, 연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중형 슈퍼마켓과 제과점에서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결제는 대부분 제외되었습니다.
배달앱이나 쇼핑몰은 결제 구조상 카드사가 판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인정되지 않습니다.
소상공인 매장도 키오스크·테이블오더를 통한 결제는 제외되었고, 반드시 매장 내 카드 단말기로 결제해야 소비액으로 인정됩니다.
- 신용카드 환급 구조:
2025년 9~11월 카드 사용액이 2024년 월 평균 사용액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분의 20%를 환급해주는 구조입니다.
다만, 불인정 사용처 실적은 제외되며, 9~11월간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이 한도입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해외 사용액,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액은 제외됩니다.
- 카드 소비액 환급 방식: 디지털온누리상품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홈페이지 신청 시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3. 온누리상품권 지급 일정과 사용방법
9월 소비 증가분에 대한 페이백은 10월 15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됩니다.
10월, 11월 증가분 역시 각각 다음 달 15일에 지급됩니다.
지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발급일로부터 5년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백 받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상점가 등 전국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결제 가능합니다.
가맹점은 온누리 앱 내 ‘가맹점 찾기’ 기능을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충전한 상품권보다 먼저 차감되도록 시스템이 조정될 예정입니다.
📌 상생소비복권 신청방법
10월 12일까지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소비복권 홈페이지)에서 페이백 신청을 완료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자동으로 응모됩니다.
소비복권은 8월 1일~10월 12일까지 상생페이백 사용처에서 사용한 카드 결제액을 기준으로 제공됩니다.
누적 결제금액 5만 원당 복권 1장이 지급되며, 최대 10장(총 50만 원 이상)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당첨금은 11월 중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되며, 추첨을 통해 1등 10명에게 각 2천만원 등 총 10억원을 2,025명에게 지급합니다.
